룽산 문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룽산 문화는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2000년경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신석기 시대 문화이다. 물레를 사용한 얇고 광택 있는 흑색 도자기를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며, 산둥 룽산 문화, 허우강 2기 유형, 왕완 3기 유형, 타오쓰 유형 등 다양한 지역 유형으로 분화되었다. 룽산 문화는 청동기 사용, 도시의 등장, 사회 계층화 등 중국 문명 발전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며, 180cm가 넘는 거인으로 불리는 사람들이 존재했다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양사오 문화
황하 유역에서 기원전 5000년경부터 기원전 3000년경까지 번성한 양사오 문화는 채색 도기, 움집, 수수 경작을 특징으로 하며 룽산 문화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농업 방식과 사회 구조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중국의 신석기 시대 - 펑터우산 문화
펑터우산 문화는 기원전 9000년에서 기원전 5500년 사이에 존재했던 중국 신석기 시대 초기의 문화로, 쌀 재배의 증거와 가장 오래된 취락 형태를 보여준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룽산 문화 | |
---|---|
개요 | |
![]() | |
지역 | 중국 황하 중하류 지역 |
시기 | 신석기 시대 |
존속 기간 | 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1900년경 |
대표 유적지 | 청쯔야 유적 |
주요 유적지 | 스마오 유적 타오쓰 유적 |
선행 문화 | 양사오 문화 다원커우 문화 |
후행 문화 | 얼리터우 문화 웨스 문화 |
명칭 | |
한국어 | 룽산 문화 |
병음 | Lóngshān wénhuà (룽산 문화) |
로마자 표기 | Lóngshān wénhuà (룽산 문화) |
특징 | |
토기 | 흑도 (검은 간토기) |
사회 | 계층화 사회, 수렵 및 농경 생활 |
유전적 특징 | |
Y-염색체 기반 유전 패턴 | 신석기 시대 전환의 영향을 받음 |
티베트 고원 인구 | 현대 및 고대 게놈 데이터에서 추론된 티베트인의 혼합 파동 |
2. 역사
1928년 산둥성 동부 장추 시 룽산진의 청즈아이(城子崖)에서 유적이 출토되었고, 1930년 이후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다.[1] 룽산 문화는 황하 유역뿐만 아니라 장강 유역, 중국 남부 해안 부근에서도 발견되어 그 확산 범위를 알 수 있다.[1] 장강 중류 지역의 취자링 문화 역시 회도와 흑도를 특징으로 하며, 허난성 부근까지 영향을 미쳐 룽산 문화가 장강 유역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
룽산 문화 후기에는 청동기가 출현하여 은대, 주대(또는 은나라 이전의 하나라)의 청동기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성격을 보인다.[1]
룽산 문화 시기 가장 큰 변화는 도시의 출현이다. 초기에는 수혈식 주거 형태였으나, 곧 기둥과 벽을 세운 가옥이 나타났다. 흙을 다져 만든 성벽이나 굴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산시성(山西省) 샹펀 현 타오스 향 남쪽에서 발견된 샨시 룽산 문화의 타오쓰 유적(기원 전 2500년 - 기원 전 1900년)은 룽산 문화 도시 유적 중 가장 큰 규모이다.[1]
산시성(陝西省) 웨이허 주변은 농업과 목축이 양사오 문화 시기보다 크게 발전했다. 쌀 재배가 시작되었고, 누에를 기르는 양잠과 소규모 견직물 생산도 확인되었다.[1]
동물 견갑골을 이용한 점이나 무술(巫術) 흔적도 발견되어 종교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농업 등 생산력 발달로 잉여 생산물이 생기고, 사유재산이 출현하면서 사회 계층화가 진행되었고, 부권제 사회나 계급 사회가 탄생했다.[1]
중국 신석기 시대 인구는 룽산 문화 시기에 절정을 이루었으나, 말기에는 인구가 급감했다. 무덤의 부장품에서도 고품질 난각도나 흑도는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다.[1]
룽산 문화는 중원 룽산 문화('''허난 룽산 문화'''와 '''산시 룽산 문화''') 및 '''산둥 룽산 문화'''로 나뉜다. 산둥 룽산 문화는 황하 하류의 다원커우 문화를 계승했고, 허난 룽산 문화는 황하 중류의 양사오 문화를 계승했다. 룽산 문화는 황허 유역뿐 아니라 장강 유역 등 훗날 한족 문화가 번성하는 지역 일대에 영향을 미쳤다.
2. 1. 명칭의 유래
룽산 문화라는 명칭은 산둥성 장추현 룽산진(龍山鎭)에서 유래했다. 1928년 이 지역의 청쯔야이 유적이 처음 발견되었고, 1930년부터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다.[1] 룽산 문화의 특징은 고온에서 구운 회도와 흑도를 중심으로 한 높은 도기 기술에 있으며, 그릇이 얇고 균일하여 물레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1] 특히 '''난각 도기'''는 그릇을 달걀 껍질처럼 얇게(0.5~1mm) 만든 흑도 도기로, 표면을 연마하여 검은 윤기를 내고 정교한 문양을 새긴 것이 특징이다.[1]2. 2. 초기 연구와 오해
1950년대까지 흑색 도자기는 룽산 문화의 주요 진단 기준으로 여겨져, 이와 관련된 유적들은 모두 룽산 문화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1] 1963년 출판된 장광즈(張光之)의 《고대 중국의 고고학》 초판에서 그는 이러한 모든 지역을 "룽산oid 수평선"으로 묘사하며, 중원 핵심 지역에서 확장된 비교적 균일한 문화를 제시했다.[2][3]그러나 이후 더 많은 발굴이 이루어지면서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지역적 다양성이 드러났다. 그 결과 장광즈의 "룽산oid 수평선"에 포함되었던 많은 지역 문화가 현재는 별개의 문화로 간주되며, "룽산 문화"라는 용어는 황하 중하류 지역으로 제한되게 되었다.[4] 예를 들어, 양쯔강 하류 지역의 동시대 문화는 현재 량주 문화로 묘사된다.[5][6]
동시에 연구자들은 산둥 또는 "고전적인" 룽산 문화와 허난성, 산시성, 산시성의 지역 변종을 구별함으로써 황하 유역 내의 다양성을 인식했다.[7][8] 장광즈는 그의 책 제4판(1986)에서 중원을 중심으로 한 모델에서 지역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전이 자극된 독특한 지역 문화 모델로 이동했는데, 그는 이 상황을 "중국 상호 작용 구"라고 불렀다.[9][10] 1980년대에 옌원밍(閻文明)은 이 지역 전체의 후기 신석기 시대(기원전 3천년) 문화를 포괄하는 "룽산 시대"라는 용어를 제안했지만, 그는 중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했다.[11]
2. 3. 지역 문화의 발견과 개념 변화
1950년대까지 흑색 도자기는 룽산 문화의 주요 진단 기준으로 여겨졌고, 이와 관련된 유적들은 모두 룽산 문화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1] 1963년에 출판된 장광즈(張光直)의 저서 『고대 중국의 고고학』 초판에서는 이러한 지역들을 "룽산oid 수평선"으로 묘사하며, 중원 핵심 지역에서 확장된 비교적 균일한 문화로 제시했다.[2][3]그러나 이후의 발견들은 이전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지역적 다양성을 드러냈고, 그 결과 장광즈의 '룽산oid 수평선'에 포함되었던 많은 지역 문화가 현재는 별개의 문화로 간주되고 있다.[4] "룽산 문화"라는 용어는 황하 중하류 지역으로 제한되게 되었다.[5] 예를 들어, 양쯔강 하류 지역의 동시대 문화는 현재 량주 문화로 묘사된다.[6][7]
동시에 연구자들은 산둥성 또는 "고전적인" 룽산 문화와 허난성, 산시성(陝西省), 산시성(山西省)의 지역 변종을 구별함으로써 황하 유역 내의 다양성을 인식했다.[8][9] 장광즈는 그의 책 제4판(1986)에서 중원을 중심으로 한 모델에서 지역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개발이 자극된 독특한 지역 문화 모델로 이동했는데, 그는 이 상황을 "중국 상호 작용 구"라고 불렀다.[10][11] 1980년대에 옌원밍은 이 지역 전체의 후기 신석기 시대(기원전 3천년) 문화를 포괄하는 "룽산 시대"라는 용어를 제안했지만, 그는 중원에게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했다.
2. 4. 옌원밍의 "룽산 시대"
1980년대에 옌원밍은 이 지역 전체의 후기 신석기 시대(기원전 3천년) 문화를 포괄하는 "룽산 시대"라는 용어를 제안했지만, 그는 중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했다.[1][2]2. 5. 산둥 룽산 문화와 지역 변종
1950년대까지 흑색 도자기는 룽산 문화의 주요 진단 기준으로 여겨졌고, 관련 유적들은 모두 룽산 문화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1] 장광즈(張光之)는 1963년 출판된 『고대 중국의 고고학』 초판에서, 이러한 지역들을 "룽산oid 수평선"으로 묘사하며 중원 핵심 지역에서 확장된 비교적 균일한 문화로 제시했다.[2][3] 그러나 이후 발견들은 지역적 다양성을 보여주었고, 그 결과 장광즈의 룽산oid 수평선에 포함되었던 많은 지역 문화는 현재 별개의 문화로 간주된다.[4] "룽산 문화"라는 용어는 황하 중하류 지역으로 제한되게 되었다.[5] 예를 들어, 양쯔강 하류 지역의 동시대 문화는 량주 문화로 묘사된다.[6][7]동시에 연구자들은 산둥 또는 "고전적인" 룽산 문화와 허난성, 산시성, 산시성의 지역 변종을 구별하여 황하 유역 내의 다양성을 인식했다.[8][9] 장광즈는 그의 책 제4판(1986)에서 중원을 중심으로 한 모델에서 지역 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전이 자극된 독특한 지역 문화 모델로 이동했는데, 그는 이 상황을 "중국 상호 작용 구"라고 불렀다.[10][11] 1980년대 옌원밍(閻文明)은 이 지역 전체의 후기 신석기 시대(기원전 3천년) 문화를 포괄하는 "룽산 시대"라는 용어를 제안했지만, 중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했다.
3. 특징
룽산 문화는 물레를 사용한 도기 제작, 도시 출현, 농업과 수공업 발전, 사회 계층화 등 여러 특징을 보인다.
석도 등 석기와 골기, 옥기 등이 출토되었고, 룽산 문화 후기에는 청동기도 나타나 은나라, 주나라(혹은 하나라)로 이어지는 청동기 시대의 과도기였다고 볼 수 있다.
동물 견갑골을 이용한 점복과 무술(巫術) 흔적에서 종교의 출현을 짐작할 수 있다. 농업 발달로 잉여 생산이 생기고 사유 재산이 출현하면서, 부권제 사회와 계급 사회가 탄생했다.
3. 1. 도기 제작 기술
룽산 문화는 고온에서 구운 회도와 흑도를 중심으로 한 높은 도기 기술이 특징이며, 그릇이 얇고 균일하여 물레가 사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흑도는 황하 유역뿐만 아니라 장강 유역과 중국 남부 해안 부근에서도 발견되어 룽산 문화의 확산을 보여준다. 장강 중류 지역의 취자링 문화도 회도, 흑도를 특징으로 하며 허난성 부근까지 영향을 끼쳐, 룽산 문화가 장강 부근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3. 1. 1. 난각도 (卵殻陶)
'''난각도'''(卵殻陶)는 달걀 껍질처럼 얇게(0.5 - 1mm) 만든 흑토 도기로, 광택을 내거나 정교한 문양을 새겨 넣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황허 유역뿐만 아니라 장강 유역 및 중국 남부 해안 부근에서도 발견되어 룽산 문화의 확산을 보여준다.3. 1. 2. 종류와 용도


도기 생산 효율의 증가는 출토되는 도기의 수나 종류가 이전 문화에 비해 증가했다는 점에서도 나타나며, 정, 격(삼족 솥), 규(세발 달린 가마솥), 높은 자루 잔(고병배) 등 조리기구 및 식기로 사용된 다양한 흑도, 회도가 출토되었다.
3. 2. 도시의 출현
룽산 문화 시기에는 도시가 출현하였다. 초기에는 수혈 주거 형태였으나, 점차 기둥과 벽을 세운 가옥이 등장하였다. 또한 흙을 다져 만든 성벽과 해자가 출토되어 도시 방어 체계가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산시성 샹펀현 타오스 향(陶寺郷) 남쪽에서 발견된 타오쓰 유적(기원전 2500년 - 기원전 1900년)은 룽산 문화의 대표적인 도시 유적이다.3. 2. 1. 타오쓰 유적
산시성 남부 린펀 분지에 위치한 타오쓰 유적은 면적이 300ha에 달하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황허강 중류 지역에서 가장 큰 룽산 문화 정착지이다. 타오쓰 유적의 매장 관습은 최소 3개의 사회 계급을 가진 복잡한 사회를 나타낸다.후기 타오쓰 시대에는 흙으로 다져진 성벽이 파괴되었으며, 이는 폭력과 정치적 격변의 징후로 해석된다. 거의 같은 시기에 타오쓰에서 동남쪽으로 20km 떨어진 충산 건너편에 새로운 대규모 중심지인 팡청(230ha)이 건설되었다.
3. 3. 농업과 수공업
룽산 문화 시기에는 농업과 수공업이 발달했다. 도기 생산 효율이 높아져 이전 문화에 비해 출토되는 도기의 수와 종류가 크게 늘었다. 정, 격, 규(세발 달린 가마솥), 높은 손잡이 잔 등 조리 도구와 식기로 사용된 다양한 흑도, 회도가 출토되었다. 특히 난각 도기는 얇고(0.5~1mm) 검은 윤기를 내며 정교한 문양이 새겨져 있어, 룽산 문화의 높은 기술 수준을 보여준다.양잠 산업에서 누에를 사육하고 가축화하여 소규모 견직 생산 또한 이루어졌다.[5] 동물의 견갑골을 사용한 점술이나 무술의 흔적도 엿볼 수 있어 종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농업 등의 발달로 잉여 생산이 생기고, 사유재산이 출현하여 사회의 계층화가 진행되었고, 부권제 사회나 계급 사회가 탄생했다.
3. 3. 1. 농업 생산력 증가
샨시성의 웨이허 주변에서는 양사오 문화 시기에 비해 농업과 목축업이 크게 발전하였다. 쌀 재배가 시작되었고, 누에를 기르는 양잠업과 소규모 견직물 생산도 확인되었다. 가장 중요한 작물은 수수였지만, 메수수, 쌀, 밀의 흔적도 발견되었다. 산둥성과 허난성 남부에서는 쌀알이 발견되었으며, 랴오둥 반도에서도 작은 벼농사가 발견되었다. 곡물을 파종, 수확, 제분하기 위한 전문적인 도구들이 발견되었다.[1]3. 3. 2. 도구 발전
룽산 문화 시기에는 수수가 가장 중요한 작물이었지만, 메수수, 쌀, 밀의 흔적도 발견되었다. 쌀알은 산둥성과 허난성 남부에서 발견되었으며, 랴오둥 반도에서도 작은 벼농사가 발견되었다. 곡물 파종, 수확, 제분에 사용된 전문적인 도구들이 발견되었다.[1][2]석도 등 석기와 골기 등의 무기나 도구, 옥 등의 옥기도 출토되고 있다. 룽산 문화 후기에는 청동기도 출현했으며, 은대, 주대(혹은 은나라 이전에 있었다고 여겨지는 하대)의 청동기 시대로 들어가는 과도기였다고 생각된다.
3. 3. 3. 가축 사육
룽산 문화 시기 가장 흔한 육류 공급원은 돼지였다.[1] 양과 염소는 기원전 4천년기에 황토 고원 지역에서 가축화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2800년경에는 허난성 서부에서도 발견되었고, 이후 황허강 중·하류 지역으로 확산되었다.[2] 개 또한 식용으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산둥성에서 많이 사육되었으며, 소는 덜 중요했다.[3][4]3. 4. 사회 변화
룽산 문화 시기에는 도시가 출현하고 농업과 수공업이 발전하는 등 큰 사회 변화가 있었다. 초기의 주거 형태는 수혈 주거였지만, 점차 기둥과 벽을 세운 가옥이 등장했다. 흙을 다져 만든 성벽과 해자도 출토되었는데, 특히 산시성 샹펀현 타오스 향 남쪽에서 발견된 타오시 유적(기원전 2500년 - 기원전 1900년)은 룽산 문화의 도시 유적 중 가장 큰 규모이다.산시성 웨이허 주변에서는 농업과 목축이 양사오 문화 시기보다 크게 발전했다. 쌀 재배가 시작되었고, 누에를 치는 양잠과 소규모 견직물 생산도 확인되었다. 동물의 견갑골을 이용한 점복이나 무술의 흔적도 발견되어 종교가 존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 4. 1. 사회 계층화
농업 등의 발달로 잉여 생산물이 생기고, 사유 재산이 출현하면서 사회 계층화가 진행되었다. 이는 부권제 사회와 계급 사회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룽산 문화 말기에는 분묘의 부장품에서 고품질의 란각도, 흑도 등이 보이지 않게 되었는데, 이는 사회 계층화가 심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로 해석할 수 있다.3. 4. 2. 부권제 사회
농업 등의 발달로 잉여 생산이 생기고, 사유 재산이 출현하여 사회의 계층화가 진행되었고, 부권제 사회와 계급 사회가 탄생했다. 흑색 토기에서는 회전대를 사용하고 광택을 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제작 기술도 발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3. 4. 3. 인구 변화
중국 신석기 시대 인구는 룽산 문화에서 정점에 달했지만, 룽산 문화 말기에는 인구가 급감했다. 동시에 분묘의 부장품에서 고품질의 난각도, 흑도 등도 볼 수 없게 되었다.3. 5. 종교와 의례
룽산 문화에서는 동물의 견갑골을 사용한 점복과 무술(巫術)이 행해졌으며, 종교도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농업 등의 발달로 잉여 생산물이 생겨나고 사유 재산이 출현하면서 사회 계층화가 진행되었고, 부권제 사회 및 계급 사회가 탄생했다.[2]3. 5. 1. 점술
산시성과 허난성 남부에서 소, 돼지, 양, 사슴의 견갑골을 가열하여 점술로 사용한 유물이 발견되었다.[1] 동물의 견갑골을 사용한 점술이나 무술(巫術)의 흔적도 엿볼 수 있어 종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3. 5. 2. 인신공양
룽산 시대 후기에 산시성과 중원 지역에서 인신공양의 증거가 더 흔하게 나타난다.[1][2]4. 시기 구분
룽산 문화는 전기와 후기로 구분되며, 황하 유역의 지형과 시간에 따라 지역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11]
- 전기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2600년경): 양사오 문화와 허난 룽산 문화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인 먀오디거우 II기가 나타났다.
- 후기 (기원전 26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황허 중류 지역에서 고전적인 산둥 룽산 문화와 동시대에 존재하며, 왕완 3기, 허우강 2기, 타오쓰, 커싱좡 2기 등 여러 지역 변종이 확인되었다.[3][4]
룽산 문화는 황하 유역의 지형에 따라 크게 중원 지역과 황하 하류 지역(산둥 룽산 문화)으로 나뉜다.[11]
4. 1. 전기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2600년경)
룽산 문화의 전기는 기원전 3000년에서 기원전 2600년경까지이다. 1950년대 허난성 서부 산현에서 진행된 발굴을 통해 이전의 양사오 문화와 이후의 허난 룽산 문화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인 먀오디거우 II기(기원전 3000년~2600년)가 확인되었다. 일부 고고학자들은 산둥성의 후기 다원커우 문화와 동시대인 이 단계를 양사오 문화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은 이를 허난 룽산 문화의 초기 단계로 묘사한다. 일부 학자들은 후기 다원커우 문화를 산둥 룽산 문화의 초기 단계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먀오디거우 II기 유적은 허난 중부 및 서부, 산시성 남부, 산시성 웨이강 유역에서 발견된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도구와 토기는 이전의 양사오 문화의 그것보다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농업은 더욱 강화되었고, 가축(돼지, 개, 양, 소)의 소비가 크게 증가했다. 허난 중부 먀오디거우 II기의 도자기 양식이 동쪽의 후기 다원커우 문화와 남쪽의 후기 취자링 문화와 유사한 점은 이 지역들 간의 교역 관계를 시사한다. 또한, 최대 해양 침입 시대와 일치하는 중기 및 후기 다원커우 유적(기원전 3500-2600년)으로부터 허난 중부 및 안후이성 북부로의 확장이 있었다.
4. 2. 후기 (기원전 26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룽산 문화의 후기는 기원전 2600년에서 기원전 2000년까지이다.[3][4] 이 시기는 황허 중류 지역에서 고전적인 산둥 룽산 문화와 동시대에 존재한다.후기 황허 중류 룽산 문화는 여러 지역 변종들이 확인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지역 | 명칭 |
---|---|
허난성 서부 | 왕완 3기 |
허난성 북부 및 허베이성 남부 | 허우강 2기 |
펀강 유역 | 타오쓰 |
산시성 남부, 징강과 웨이강 중류 | 커싱좡 2기 (또는 산시 룽산) |
중국의 신석기 시대 인구가 정점에 달하면서 정착지의 계층이 발달했다. 펀강 유역, 허난성 서부의 황허 (중탸오산과 샤오산에 의해 제한됨) 및 산둥성 남동부의 해안 르자오 평원과 같이 물리적으로 제한된 지역에서는 몇몇 매우 큰 (200ha 이상) 중심지가 발달했다. 산둥의 나머지 지역, 중원 (허난성) 및 산시성의 웨이강 유역과 같이 더 개방된 지역에서는 지역 중심지가 더 많고, 더 작으며 (일반적으로 20~60ha),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도시는 주변 마을 및 촌락의 대규모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도시 엘리트들이 농촌과 그 농업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5]
정착지는 서로 다른 계층과 직업을 위한 명확하게 구분된 구역, 대규모 엘리트 거주지 및 의례적 구조를 갖춘 도시로 발전했다. 상당한 인구 증가와 사회 계층화의 증가는 룽산 문화가 엘리트 친족 네트워크의 지원을 받는 왕조 가문에 의해 통치되는 경쟁적인 족장 사회를 형성하기 시작했음을 나타낸다.[5] 우물 건설 기술이 향상되었으며, 일부 대형 가옥에는 점토 파이프를 통한 초보적인 배관 시설이 포함되었다.[5] 판축 벽은 산둥의 20개 마을, 중원의 9개 마을, 산시성 남부의 1개 마을 (타오쓰)에서 발견되어 이 지역의 정치체 간의 갈등을 시사한다. 사냥에 사용할 수 없는 순수한 군사 무기인 단검-도끼의 도입은 전쟁이 빈번했음을 나타낸다.[5]
이 시기에는 또한 몇몇 청동 및 황동 물체와 함께 구리 도구, 반지 및 종의 점점 더 광범위하고 숙련된 제조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후기 청동기 시대 문화의 출현을 위한 길을 열었다.[5]
4. 3. 지역별 분화
룽산 문화는 황하 유역의 지형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분화되었으며, 특히 후기에 들어서 이러한 분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크게 중원 지역과 황하 하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11]전기(기원전 3000년~기원전 2600년경)와 후기(기원전 2600년경~기원전 2000년경)로 나뉘는데, 황허 중류 지역에서는 후기 룽산 문화가 고전적인 산둥 룽산 문화와 동시대에 존재했다.[11] 대부분의 학자들은 채석기 시대가 기원전 2600년부터 기원전 2000년까지의 룽산 문화 기간 동안 시작되었다고 본다.[3][4]
중국의 신석기 시대 인구가 정점에 달하면서 정착지의 계층이 발달했다.[5] 물리적으로 제한된 지역에서는 몇몇 매우 큰 (200ha 이상) 중심지가 발달했다.[5] 더 개방된 지역에서는 지역 중심지가 더 많고, 더 작으며 (일반적으로 20ha~60ha),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5] 도시는 주변 마을 및 촌락의 대규모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도시 엘리트들이 농촌과 그 농업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었음을 나타낸다.[5]
정착지는 서로 다른 계층과 직업을 위한 명확하게 구분된 구역, 대규모 엘리트 거주지 및 의례적 구조를 갖춘 도시로 발전했다. 상당한 인구 증가와 사회 계층화의 증가는 룽산 문화가 엘리트 친족 네트워크의 지원을 받는 왕조 가문에 의해 통치되는 경쟁적인 족장 사회를 형성하기 시작했음을 나타낸다.[5] 도시의 우물 건설 기술이 향상되었으며, 일부 대형 가옥에는 점토 파이프를 통한 초보적인 배관 시설이 포함되었다.[5] 판축 벽은 산둥의 20개 마을, 중원의 9개 마을, 산시성 남부의 1개 마을 (타오쓰)에서 발견되어 이 지역의 정치체 간의 갈등을 시사한다.[5] 사냥에 사용할 수 없는 순수한 군사 무기인 단검-도끼의 도입은 전쟁의 빈번한 발생을 나타낸다.[5]
이 시기에는 또한 몇몇 청동 및 황동 물체와 함께 구리 도구, 반지 및 종의 점점 더 광범위하고 숙련된 제조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후기 청동기 시대 문화의 출현을 위한 길을 열었다.[5]
4. 3. 1. 중원 지역
룽산 문화는 황하 유역의 지형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분화되었는데, 중원 지역에는 허난 룽산 문화와 웨이허 연안의 산시 룽산 문화가 있었다. 허난 룽산 문화는 허난성 서부의 왕완 3기, 허난성 북부 및 허베이성 남부의 허우강 2기 문화를 포함한다. 산시 룽산 문화는 펀강 유역의 타오쓰와 산시성 남부, 징강과 웨이강 중류에 위치한 여러 유적들을 포함하며, 커싱좡 2기 문화라고도 불린다.[11]웨이허 연안은 이후 실크로드라 불리는 서역 교역로의 기점이 되어, 중국 역사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농업과 목축업이 양사오 문화 시기에 비해 크게 발전하였다. 쌀 재배가 시작되었고, 누에를 기르는 양잠업과 소규모 견직물 생산도 확인되고 있다.[11]
중원 지역은 더 개방된 지역으로, 지역 중심지가 더 많고 작았으며(일반적으로 20~60ha),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5] 판축 벽은 중원의 9개 마을에서 발견되어 이 지역의 정치체 간의 갈등을 시사한다.[5]
4. 3. 2. 황하 하류 지역
룽산 문화는 1928년 산둥성 동부 장추 시 룽산진 청즈아이(城子崖)에서 유적이 출토되어 1930년부터 본격적으로 발굴되었다. 룽산 문화의 특징은 고온에서 구운 회도, 흑도를 중심으로 한 높은 도기 기술에 있으며, 그릇이 얇고 균일하여 녹로가 사용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특히 란각도(卵殻陶)는 그릇을 알 껍질처럼 얇게(0.5mm~1mm) 만든 흑도로, 더욱 연마하여 검은 윤기를 내고 세밀한 문양을 조각한 것이다. 이는 황하 유역뿐만 아니라 장강 유역 및 중국 남부 해안 부근에서도 발견되어 룽산 문화의 확산을 보여준다.
도기 생산 효율 증가는 출토되는 도기의 수와 종류가 이전 문화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솥, 역(鬲, 삼족 솥), 규(鬹, 세발달린 가마솥), 높은 자루 잔(高柄杯) 등 조리기나 식기로 사용된 다양한 흑도, 회도가 출토되었다.
도기 외에도 돌칼(石包丁) 등 석기, 골기, 무기, 도구, 비취 구슬도 출토되었다. 룽산 문화 후기에는 청동기도 나타나 은나라, 주나라(혹은 은나라 이전 하나라)의 청동기 시대로 이어지는 과도기였다고 볼 수 있다.
룽산 문화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도시의 출현이다. 초기 주거 형태는 수혈식 주거였으나, 곧 기둥과 벽을 세운 가옥이 등장했다. 흙을 다져 만든 성벽과 도랑도 출토되었는데, 특히 산시성 샹펀현 타오스 향(陶寺郷) 남쪽에서 발견된 산시 룽산문화 유적인 타오시 유적(陶寺遺跡, 기원 전 2500년~기원 전 1900년)은 룽산 문화 도시 유적 중 가장 크다.
농업과 수공업 발달도 특징이다. 누에를 치는 양잠과 소규모 견직물 생산도 확인된다.
동물 견갑골을 이용한 점술, 무술(巫術) 흔적도 있어 종교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농업 등 발달로 잉여 생산물이 생기고, 사유재산이 나타나 사회 계층화가 진행되었으며, 부권제 사회 및 계급 사회가 탄생했다. 흑색 토기는 회전대를 사용하고 광택을 낸 것을 보아 제작 기술도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룽산 문화는 황하 유역 지형에 따라 중원의 허난 룽산 문화, 웨이허 유역의 산시 룽산 문화, 황하 최하류의 산둥 룽산 문화 등으로 지역별 분화되었으며, 특히 후기에 분화가 뚜렷해진다.[11]
5. 지역 유형
룽산 문화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는데, 크게 '''허난 룽산 문화'''와 '''산시 룽산 문화'''를 포함하는 중원 룽산 문화와 '''산둥 룽산 문화'''로 나뉜다. 산둥 룽산 문화는 황하 하류의 다원커우 문화를 계승했고, 허난 룽산 문화는 황하 중류의 양사오 문화를 계승했다. 룽산 문화는 황하 유역뿐만 아니라 장강 유역 등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룽산 문화 후기(기원전 2600년 ~ 기원전 2000년)에는 황허 중류 지역에서 고전적인 산둥 룽산 문화와 동시대에 여러 지역 변종들이 확인되었다. 여기에는 허난성 서부의 왕완 3기, 허난성 북부 및 허베이성 남부의 허우강 2기, 펀강 유역의 타오쓰, 산시성 남부, 징강과 웨이강 중류에 위치한 커싱좡 2기 등이 포함된다.
신석기 시대 인구가 정점에 달하면서 정착지의 계층이 발달했다. 펀강 유역, 허난성 서부의 황허 및 산둥성 남동부의 해안 르자오 평원과 같이 물리적으로 제한된 지역에서는 몇몇 매우 큰 중심지가 발달했다. 반면 산둥의 나머지 지역, 중원(허난성) 및 산시성의 웨이강 유역과 같이 더 개방된 지역에서는 지역 중심지가 더 많고, 더 작으며,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정착지는 서로 다른 계층과 직업을 위한 명확하게 구분된 구역, 대규모 엘리트 거주지 및 의례적 구조를 갖춘 도시로 발전했다. 상당한 인구 증가와 사회 계층화의 증가는 룽산 문화가 엘리트 친족 네트워크의 지원을 받는 왕조 가문에 의해 통치되는 경쟁적인 족장 사회를 형성하기 시작했음을 나타낸다. 도시의 우물 건설 기술이 향상되었으며, 일부 대형 가옥에는 점토 파이프를 통한 초보적인 배관 시설이 포함되었다. 판축 벽은 산둥의 20개 마을, 중원의 9개 마을, 산시성 남부의 타오쓰 1개 마을에서 발견되어 이 지역의 정치체 간의 갈등을 시사한다. 사냥에 사용할 수 없는 순수한 군사 무기인 단검-도끼의 도입은 전쟁의 빈번한 발생을 나타낸다.
이 시기에는 또한 몇몇 청동 및 황동 물체와 함께 구리 도구, 반지 및 종의 점점 더 광범위하고 숙련된 제조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후기 청동기 시대 문화의 출현을 위한 길을 열었다.
5. 1. 산둥 룽산 문화 (Shandong Longshan)
산둥성 중부는 태산(1545m)을 비롯한 여러 산봉우리가 있는 산악 지역이다. 룽산 유적은 이 산지를 둘러싼 평야 지대에서 발견된다.[1]북쪽에는 청쯔야, 딩궁, 톈왕, 볜셴왕 (서쪽에서 동쪽 순서) 등 4개의 성벽 중심지가 비슷한 간격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이 중 가장 큰 청쯔야는 20ha 면적이다.[2]
산둥성에서 발견된 가장 큰 유적은 량청전(273ha)과 야오왕청(368ha)이다. 두 유적 모두 르자오 지역 남동쪽 해안 근처에 있으며, 야오왕청은 량청전에서 남쪽으로 약 35km 떨어져 있다.[3] 각 유적은 경제적으로 통합된 정착촌 계층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두 유적 사이에는 정착촌이 비교적 적어 경쟁적인 정치체의 중심지였음을 시사한다. 도자기, 석기, 직물 생산이 일반적이었다. 발효 음료와 옥, 금속으로 만든 사치품 생산을 시사하는 증거도 있다.[4] 옥 사치품과 석기, 도기 등 실용적인 상품이 모두 유적에서 발견되었으므로, 이곳이 상품 생산 및 교환을 위한 지역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5] 량청전에서는 쌀, 수수, 기장, 밀이 재배되었다. 수수는 재배량 면에서 가장 중요한 작물이었지만 주로 동물 사료로 사용되었다. 쌀은 인간이 선호하는 식량이었다.[6]




5. 1. 1. 딩궁 유적의 문자
딩궁 유적에서는 11개의 상징이 새겨진 도기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학자들은 이것이 신석기 시대의 문자인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6]5. 1. 2. 빈부 격차와 폭력성
다른 룽산 시대 문화와 비교했을 때, 산둥 룽산에서는 빈부 격차가 훨씬 덜 나타났고 폭력의 정도도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6] 산둥 룽산은 다원커우 문화에서 발전하여 청동기 시대 위에스 문화로 이어졌다.[6]5. 1. 3. 문화 계승
산둥 룽산 문화는 다원커우 문화에서 발전하여 청동기 시대 위에스 문화로 계승되었다.[6]5. 2. 허우강 2기 유형 (Hougang II)
허우강 2기 유형은 룽산 문화 후기에 나타난 지역적 특징 중 하나로, 허난성 북부와 허베이성 남부에 위치한다. 이 유형에 속하는 유적들은 이 지역의 강을 따라 빽빽하게 모여 있으며, 많은 유적지가 서로 1km도 떨어져 있지 않다.허우강 2기 유형의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허우강 유적(10ha)과 멍좡 유적(16ha)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특히 허우강 2기 유형은 황하 유역에서 최초로 우물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이 사용한 우물 기술은 이 지역의 초기 청동기 시대 국가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5]
5. 3. 왕완 3기 유형 (Wangwan III)
룽산 문화의 왕완 3기 유형은 허난성 서부와 중부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유적 수는 양사오 문화 시기보다 3배나 증가했으며, 다중심 경쟁 체제로 발전했다. 왕청강 유적에서 금속 공예의 증거가 발견되었지만, 이는 더 늦은 시기의 유물일 가능성이 있다. 왕완 3기 유적은 얼리터우 문화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특히 신자이에 있는 70ha 규모의 성벽 유적은 "전형적으로 초기 얼리터우 문화로 직접 이어진다"고 한다.[5]5. 4. 타오쓰 유형 (Taosi)
타오쓰 유적은 산시성 남부 린펀 분지에 위치하며, 면적이 300ha에 달하는 황허 중류 지역 최대 규모의 룽산 문화 정착지이다.[4] 매장 관습은 최소 3개의 사회 계급을 가진 복잡한 사회였음을 보여준다.[4]
후기 타오쓰 시대에는 흙으로 다져진 성벽이 파괴되었는데, 이는 폭력과 정치적 격변이 있었음을 나타낸다.[4] 거의 같은 시기에 타오쓰에서 동남쪽으로 20km 떨어진 중탸오산 건너편에 새로운 대규모 중심지인 팡청(230ha)이 건설되었다.[4]
5. 5. 싼리차오 2기 유형 (Sanliqiao II)
싼리차오 2기 유형은 허난성 서부, 산시성 남서부, 산시성 동부의 황허 양쪽에 걸쳐 분포한다. 이 유형에 속하는 정착지는 약 100여 개에 이르며, 3단계의 정착지 계층 구조를 보인다. 가장 큰 유적지는 샤오자오커우(싼먼샤 남동쪽 10km)로 면적이 240ha에 달하며, 지역 중심지는 30~70ha 규모이다.[3]주거 형태는 지상 가옥, 반지하 가옥, 그리고 황토 절벽에 수평으로 구멍을 파서 만든 가옥(석회 반죽으로 벽 마감)이 있다.[3]
이 유형의 도자기는 커싱좡 2기 문화 유형의 도자기와 뚜렷한 유사성을 보인다.[3]
5. 6. 커싱좡 2기 유형 (Kexingzhuang II)
커싱좡 2기 유적은 산시성 남부의 웨이강 계곡에 흩어져 있다.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유적은 60ha로,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양사오 문화 시대 유적의 절반보다 작다. 이 시기에는 인구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학자들은 이를 환경 변화로 인한 이주 때문이라고 본다.[3] 확인된 718개의 유적 중 25개는 작은 마을 정착지로 둘러싸인 "중형" 중심지로, 3단계 정착 계층 구조를 보인다.[3]6. 쇠퇴
기원전 3천년기 말, 룽산 문화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많은 대규모 중심지가 버려졌는데, 이는 홀로세 기후 최적기의 종말과 관련된 환경 변화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1] 이러한 변화는 의례적인 매장에 사용되던 고급 흑색 도기가 사라진 것과도 일치한다.[2]
반면, 이강과 뤄강 유역의 허난성 중부 지역에서는 인구와 사회적 복잡성이 급격히 증가하여 얼리터우 문화로 이어졌다.[3] 이 지역의 물질 문화는 숭산을 중심으로 하는 신자이 단계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보였다.[4] 그러나 타오스 지역에서는 룽산 문화와 얼리터우 문화 사이의 그러한 연속성이 나타나지 않아, 이 지역의 붕괴와 이후 얼리터우 핵심 지역으로부터의 확장을 시사한다.[5]
7. 의의
룽산 문화는 중국 신석기 시대 후기에 나타난 문화로, 황하 중류와 하류 지역에 걸쳐 넓게 퍼져 있었다. 이 문화는 황하 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중국 문화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룽산 문화는 중원 룽산 문화('''허난 룽산 문화'''와 '''산시 룽산 문화''') 및 '''산둥 룽산 문화'''로 나뉜다. 산둥 룽산 문화는 황하 하류를 중심으로 다원커우 문화에 이어 나타났으며, 허난 룽산 문화는 황하 중류의 양사오 문화에 이어 등장했다. 룽산 문화는 황허 유역뿐만 아니라, 장강 유역 등 후에 한족 문화가 번성하는 지역 일대에 영향을 미쳤다.
19세기와 20세기 초, 중국 문화와 문명의 기원에 대해 서방 기원설과 자생 기원설이라는 상반된 견해가 존재했다. 1921년 허난성 양사오 문화의 신석기 유적을 발굴한 J. G. 앤더슨(1874-1960)은 양사오의 채색 토기가 서방에서 기원했으며, 중앙아시아의 아나우, 동유럽의 트리필리아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견해는 심각한 결함으로 인해 학계에서 오랫동안 받아들여지지 않았다.[7]
중국 신석기 시대 인구는 룽산 문화 시기에 절정을 이루었지만, 룽산 문화 말기에는 인구가 격감했다. 동시에 분묘의 부장품에서 고품질의 란각도, 흑도 등도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7. 1. 문명 발전의 중요한 단계
룽산 문화 시기는 중국 문명 발전의 중요한 단계였다. 이 시기에는 청동기 사용이 시작되었고, 많은 도시 유적이 등장했다.[8] 얇은 몸체의 흑도기와 빠른 물레 기술이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는 사회 생산력이 전례 없이 발전했음을 보여준다.[8] 이러한 발전은 사회 내 빈부 격차를 심화시켰고, 계급 대립의 출현으로 이어졌다.[8]룽산 문화의 특징은 고온에서 구운 회도, 흑도를 중심으로 한 높은 도기 기술에 있으며, 그릇이 얇고 균일하여 물레가 사용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특히 '''난각도'''(卵殻陶|란각도중국어)는 그릇을 알의 껍질처럼 얇게(0.5 – 1 mm) 만든 흑도의 도기로, 한층 더 연마해 검은 윤기를 내고 세밀한 문양을 조각한 것이다.
도기뿐 아니라 석도 등 석기나 골기 등의 무기나 도구, 옥 등의 구슬도 출토되었다. 룽산 문화 후기에는 청동기도 출현하였고, 은대, 주대(또는 은나라 이전의 하나라)의 청동기 시대로 가는 과도기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룽산 문화의 사회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도시'''의 출현이다. 흙을 다져 만든 성벽이나 해자가 출토되고 있어, 특히 산시성 샹펀현 타오스 향(陶寺郷)의 남쪽에서 발견된 샨시 룽산문화의 유적, '''타오시 유적'''(기원전 2500년 - 기원전 1900년)은 룽산 문화의 도시 유적 중에서도 가장 큰 것이다.
농업이나 수공업의 발달도 특징이다. 산시성의 웨이허 주변에서는 농업과 목축업이 양사오 문화의 시기에 비해 크게 발전하였다. 쌀의 재배도 시작되었고, 누에를 기르는 양잠업의 존재와 소규모의 견직물 생산도 확인되고 있다. 동물의 견갑골을 사용한 점복이나 무술(巫術)의 흔적도 엿볼 수 있어 종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농업 등의 발달로 인한 잉여 생산이 생기고, 사유 재산이 출현하여 사회의 계층화가 진행되었고, 부권제 사회나 계급 사회가 탄생했다.
7. 2. 사회 변화와 계급 분화
룽산 문화 시기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이다. 청동기 사용, 많은 도시 유적의 등장, 얇은 몸체의 흑도기와 빠른 물레 기술의 광범위한 적용은 이 시기에 사회 생산력이 전례 없는 발전을 이루었음을 보여준다.[8] 이는 사회 내 빈부 격차를 심화시켰고, 계급 대립의 출현으로 이어졌다.[8] 농업 등의 발달로 잉여 생산이 생기고, 사유 재산이 출현하여 사회의 계층화가 진행되었고, 부권제 사회나 계급 사회가 탄생했다.7. 3. "룽산 거인"
룽산 문화 시기에는 "룽산 거인"이라고 불리는 비정상적으로 큰 키의 사람들이 있었다. 산둥성에서 발굴된 룽산 문화 남성들 중 일부는 키가 180cm에서 190cm 사이였는데, 이는 세계의 다른 신석기 시대 사람들보다 큰 키였다.[9] 현대 산둥성 주민들은 중국의 다른 어떤 성보다 평균 키가 가장 크다.[9] 지금까지 발견된 룽산 시대의 가장 큰 사람은 산시성에서 발견된 키 193cm의 남성으로, 약 16~18세였다.[10]7. 4. 한반도와의 관계
룽산 문화는 한반도 청동기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팽이형 토기는 룽산 문화의 흑도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며, 한반도 서북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는 룽산 문화와 한반도 사이에 문화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화 교류는 단순한 물품 교환을 넘어, 선진적인 기술과 문화를 한반도에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통해 한반도 문화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강조하며, 주변국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참조
[1]
논문
Y-chromosome-based genetic pattern in East Asia affected by Neolithic transition
https://www.scienced[...]
2016-12-28
[2]
논문
Peopling of Tibet Plateau and multiple waves of admixture of Tibetans inferred from both modern and ancient genome-wide data
2020
[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4]
서적
Early Civilizations of the Old World The Formative Histories of Egypt, The Levant, Mesopotamia, India and China
Taylor and Francis
2003
[5]
서적
Ancient China A History
Taylor and Francis
2016
[6]
논문
Dietary adaptation during the Longshan period in China: Stable isotope analyses at Liangchengzhen (southeastern Shandong)
[7]
논문
Decentralizing the Origin of Civilization: Early Archaeological Efforts in China
https://www.journals[...]
2021-10-01
[8]
논문
山东龙山文化与中国古代文明的起源
https://xueshu.baidu[...]
2002
[9]
웹사이트
The Ancient Remains of 5,000-Year-Old 'Giants' Discovered in China
https://www.sciencea[...]
2022-06-21
[10]
논문
The 4000-Year-Old "Longshan Giant" Discovered in Shaanxi Province, China
2010
[11]
서적
"The Form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